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STUDY] 알쏭달쏭 광고/마케팅 용어 정리-CPC/CPA/CPS/CPI/CPM

by 커피는달달하게 2020. 3. 24.

마케팅 STUDY - 알쏭달쏭 광고/마케팅 용어 정리


CPC / CPA / CPS / CPI / CPM...

MARKETING


온라인 쇼핑몰관련 업무를 하다 보니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들이 있는데

전문적으로 배운게 아니다보니 매번 들을때 마다 헷갈리기 일수..ㅠㅠ

그래서 개인적인 공부 겸 정리를 해본다.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이 발생하는, 비용이 나가는 방식

<CPC의 예>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이지 않을까 싶은 CPC.

대표적으로 네이버 파워링크(키워드광고)가 있고,

대부분 오픈마켓에서도 많이 쓰이는 방식.

가령 CPC에 10만원의 예산을 설정하였고,

1클릭당 100원이 차감된다고 가정하면

1000번의 클릭이 이루어지는 동안 노출이 되는 방식. 



《 CPM 

Cost Per Mille

노출 1000번당 비용이 나가는 방식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네이버 메인화면에서

로그인 창 밑에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이 대표적인 CPM.

인스타/페북의 경우도 마찬가지.

이 영상이 1000번 재생될 때 마다 광고비가 지불 되는 방식.


임펙트가 강한 동영상으로 시선을 끌 수 있음.

하지만 상세타켓을 지정하지 않으면 광고비가 저렴해지지만

효율이 좋지 않고, 상세타켓을 지정한다면 광고비가 비싸지는 대신

효율이 좋아짐.




《 CPA 

Cost Per Action

특정행동을 할 때마다 비용이 나가는 방식

특정행동-예를 들어 회원가입이나 문의사항을 남기거나 설문조사 참여등

광고주가 설정하는 특정행동이 이루어졌을 때

비용이 지불됨. 클릭을 하는 것이 아닌 특정행동에 비용이 지불되므로

단가가 높지만 비용대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




《 CPS 

Cost Per Sale

판매 건당 광고 비용이 나가는 방식

판매라는 특정행동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CPA와 흡사하지만

실제 매출이 일어나야만 광고비가 지급되는 방식으로

CPA와 차이점이 있음.

'스마트스토어 입점' 또는 '카페공동구매' 등이 

CPS에 해당.




《 CPI 

Cost Per Install

설치 광고 비용이 나가는 방식

설치를 기본으로 하는 광고 방식으로 모바일시장에 맞추어진 방식으로

CPS와 비슷하지만 판매가 아닌 설치가 이루어질 때 광고비를 주는방식.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면 광고비를 지급.





뭐 이러나 저러나 광고비가 안들어가고 하는 광고가 최고!
구매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CPA, CPI, CPS를 사용.

노출도를 높이기 위해서
CPC, CPM을 사용.

-끝-


댓글